KOSPI 월별 수익률 분석 (2023 3월)
3월 기준 한국 국고채 3년물 금리는 3.26%입니다. 월복리로 1.1%수익을 달성 시 얻을 수 있는 이익입니다. 이 금리를 기준으로 S&P500이 무위험 자산대비 얼마나 초과 수익을 낼 수 있었는지 비교합니다. 최근 ETF와 다양한 ETF 정보는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2023년 3월 기준 직전 12개월 동안의 월별 수익률을 국고채3년물의 월복리 금리와 비교하는 그래프입니다. 그래프 상단의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빨간선 점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초기값은 월복리 1.1%입니다. 빨간색 실선은 월별 수익률의 6개월 이동평균을 나타냅니다.
위의 정보를 바탕으로 그래프를 분석해봅니다. 직전 12개월 동안 무위험 자산보다 높은 월수익을 낸 경우가 총 4번입니다. 즉 1년 동안 무위험 자산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여준 비율이 약 33%(4/12)임을 알 수 있습니다. 월별 수익률읠 6개월 이동평균은 1.87%로 무위험 자산보다 간신히 높은 수준으로 올라왔습니다. S&P500은 1.61%였던 걸로 기억하니 상대적으로 KOSPI가 더 빠르게 오르는 것 같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아직 무위험 자산대비 투자 매력도가 높은 구간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의 섹터별로 다른 수익률을 보이기 때문에 모든 섹터를 반영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주식 자산군에 대한 모멘텀이 어느정도인지는 위의 그래프를 통해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긍정적인 부분은 6개월 이동평균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미국의 금리에 대한 피봇 기대감이 커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변동성
지난 12개월 월별 수익률을 보면 수익률이 매우 크게 +/-로 변경하는 것을 볼 수 있듯이 여러가지 위험요소가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과 같은 은행권의 내제된 문제들이 언제 나타날 지 모르니 조심스러운 구간인 것 같습니다. 2021년 주가 상승기에는 연속적으로 무위험 자산보다 수익률이 높아진 부분과 비교해 보면 변동성이 매우 큰 시기로 보입니다.
다른 시점이나 좀 더 자세한 수익률을 확인은 아래의 블로그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다만 공부를 위해 정리한 내용이라 잘못된 자료가 있을 수 있으니 중요한 정보는 본인이 꼭 다시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publickrbook.com/dashboard/kospi_monthly_returns/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SI (News Sentiment Index) 2024년 3월 정보 (0) | 2024.03.06 |
---|---|
한국 뉴스 심리지수 분석 (2023년 3월) (0) | 2023.03.23 |
S&P500 월별 수익률 (2023/03월) (0) | 2023.03.17 |
한국 뉴스 심리 지수 (NSI) - News Sentiment Index) (0) | 2023.03.17 |
KOSPI 모멘텀 전략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