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분석 📉📈
이번 주(2025년 2월 3일 기준)
한국 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지난주(1월 27일 기준) 동향이 발표되지 않아
이번 조사는 2주간(1월 20일 대비) 누적된
변동률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럼, 시장 흐름을 함께 분석해볼까요? 🚀
1.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세 둔화 📉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0.04% 하락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로 하락세를 유지했지만,
직전 조사(-0.05%)보다는
하락세가 둔화되는 모습입니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하락폭이 줄어들었으며,
특히 서울은 0.02% 상승하며
오랜만에 상승 전환되었습니다.
수도권(-0.02%)
: 하락세 완화
서울 0.02% 상승
: 강남·송파·용산 등의 선호 지역 상승
인천 -0.08% 하락
:미분양 영향으로 하락 지속했으며
경기 -0.03% 하락
: 일부 지역 상승했으나 공급 물량이 많은 곳은 하락
지방(-0.06%)
: 하락폭 둔화
울산(0.03%)·전북(0.02%)·충북(0.01%) 상승
대구(-0.21%)·경북(-0.11%)·인천(-0.08%) 하락
특히, 서울은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이며,
강남·송파·서초 등 일부 인기 지역에서
거래가 회복되는 분위기가 감지되었습니다.
또한, 경기 화성(+0.08%)과 과천(+0.06%)이
비교적 강세를 보였는데요.
화성
: 우수한 교통망(신분당선 연장 등)과
재건축사업진행이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기사]
다만 [기사]와 같이 전철 분당선 기흥~오산 연장이
부동산 투기 수단으로 변질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과천
: 재건축 사업과 정부 기관 이전 효과
이러한 요소들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입니다.
2. 전세가격은 보합세 유지 🏠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0% 변동 없는 보합세를 기록했습니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직전 조사 대비
안정된 모습을 보였고,
서울은 0.01% 상승하며 보합에서 상승 전환되었습니다.
수도권(0.00%)
: 보합 유지
서울 0.01% 상승
: 학군지와 신축 중심 상승
인천 -0.02% 하락
: 일부 지역 입주물량 영향
경기 0.00% 보합
: 지역별 혼조세
지방(0.00%)
: 보합 유지
울산(0.08%)·광주(0.03%)·충북(0.03%)·부산(0.02%) 상승
대구(-0.08%)·대전(-0.06%)·제주(-0.03%) 하락
전세 시장이 보합세를 유지하는 이유는
✔ 일부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에서
하락세가 있었지만,
학군지 및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서울에서는
송파(0.07%)·양천(0.05%)·영등포(0.04%) 등이
강세를 보였고,
경기에서는
용인 수지(0.17%)·수원 권선(0.13%) 등이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3. 시장 분위기와 전망 🔮
✔ 매매시장
서울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의
상승세가 확인되었지만,
여전히 대출 규제와 매수심리 위축이
지속되는 상황입니다.
다만,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지역에서는
거래가 점차 회복되는 분위기입니다.
✔ 전세시장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지만,
주물량이 많은 지역(인천·경기 광명·평택 등)은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앞으로 주목할 포인트!
1️⃣ 서울의 상승세가 계속될까?
2️⃣ 인천·경기의 하락세가 둔화될까?
3️⃣ 전세시장 보합세가 언제까지 유지될까?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월 셋째 주 아파트 시장 동향 분석 (1) | 2025.01.24 |
---|---|
2024년 주택 가격동향 분석결과 (0) | 2025.01.23 |
2025년 부동산 전망 (1) | 2025.01.19 |
부동산 취득세 주요변경내용 (2023) (0) | 2025.01.11 |
부동산 보유세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