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서 자산군별 수익률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매월 자산군의 수익률을 비교하여 모멘텀이 높은 자산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작업은 하나의 자산군에 투자가 집중되어 발생하는 변동성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역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자산군을 조합한다면 그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2년 4월 자산군별 수익률을 확인하여 자신에 맞는 포트폴리오 리벨런싱 작업을 수행하시면 좋을 것 같아 각 자산군별 수익률을 비교해봤습니다. 제 공부를 위한 정리 자료이니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부분은 꼭 다시 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자산군별 수익률 순위
2022년 4월 채권, 원자재, 금 등의 자산군들의 수익률을 비교합니다. 신흥국 주식과 미국 주식을 대표하는 ETF의 수익률과 부동산, 채권을 대표하는 ETF의 수익률을 확인합니다.
수익률이 1개월 , 3개월, 1년으로 각각 다르기 때문에 1개월과 3개월을 평균한 수익률을 기준으로 순위를 확인해 봅니다.
1개월과 3개월 수익률에 대한 자산별 수익률을 함께 확인하여 위의 표에 표시하였습니다. rank는 1개월과 3개월의 순위에 대한 합으로 작을 수록 순위가 높음을 의미합니다.
DBC
표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자산군별 수익률 1위는 원자재입니다. 1개월, 3개월 수익률도 +이며 가중평균은 19.28%로 수익률 상승 모멘텀이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자산대비 수익률이 월등히 높지만 1개월 수익률은 지난 달보다 조금 낮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자산군별 수익률 2위는 부동산을 대표하는 ETF로 VNQ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동산 ETF별로 수익 모델로 사용하는 섹터나 산업이 무언인지에 따라 다른 부동산 ETF와 수익률은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익률 가중평균은 2.63%이며 1개월 수익률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금
3위는 금입니다. 가중평균 수익률은 2.45%입니다. 1개월과 3개월 수익률을 보면 3개월 수익률은 높으나 1개월 수익률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 심리가 낮아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수익률로 보입니다.
미국 주식
미국 주식을 대표하는 SPY는 가중평균으로 (-)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개월과 3개월 수익률을 보면 1개월은 (+)이며 3개월은 (-)입니다. 급격한 주가 하락 구간에 따른 평균 수익률 하락으로 보입니다. 1개월 수익률이 단기간으로 올라 3개월 수익률이 지속적으로 오를 수 있을지는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기타 자산군
특징적인 자산군은 신흥국 주식을 대표하는 EEM ETF의 수익률입니다. 현재 가중평균은 (-)이나 1개월 수익률이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개월 순위는 9위였으며 수익률로는 -11%정도 였음을 보면 특징적인 수익률 상승으로 보입니다.
각 자산군별 수익률을 표로 확인합니다. 1개월 수익률을 표시하는 파란색 영역이 (+)큰 부분이 DBC, 부동산, S&P500, 신흥국주식임이 보입니다.
결론
2022년 4월 자산군별 수익률을 비교해봤습니다. 공부를 위해 정리한 자료이니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부분은 꼭 다시 확인 부탁드립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래는 2022년 배당 일정, 배당수익률 등의 정보를 모은 페이지입니다.
최신 정보를 모으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배당주에 관심있는 분들은 참고 부탁드립니다.
▷[종합] 미국 배당주 정보 정리 페이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뉴스 심리 지수 (NSI) - News Sentiment Index) (0) | 2023.03.17 |
---|---|
KOSPI 모멘텀 전략 (0) | 2023.03.07 |
KB증권 양도소득세 신청 PDF 만들기 (0) | 2022.04.08 |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는 시기에 강한 자산군은? (0) | 2022.03.30 |
2021년 3월 자산별 상관관계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