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배블런 효과( Veblen Effect)

by 느리게 걷는 즐거움 2024. 3. 28.
반응형

배블런 효과(  Veblen Effect )

배블런 효과는 물건의 가격이 높아질수록 수요가 더욱 증가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경제학 용어입니다. 사회의 제도적인 측면에 관심을 가진 제도학파의 주요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그의 첫 저서 <유한계급론(The Theory of Leisure Class)>에서 언급한 효과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현상은 단순히 가격과 수요의 상관 관계를 넘어서, 인간의 심리적 측면과 소비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요구합니다.

재력이나 지위에 대한 과시욕은 우리 사회에서 뿌리 깊은 문화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과시욕은 소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가격이 비싼 물건일수록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특히 상류층이나 중상류층에서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고가의 제품을 소유함으로써 자신을 특별하고 고상한 사람으로 인식하려는 욕구가 작용합니다.

따라서서 이런 블런 효과는 단순히 "값을 올리면 잘 팔린다"가 절대 아니며 어디까지나 사치재에 한하며, 사치재라 해도 동종업계에 비교대상이 될 대체제가 필요하고, 명품이라는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배블런효과의 영향

소비 패턴: Veblen Effect는 소비 패턴에 영향을 미칩니다. 고가의 상품이나 브랜드는 소비자들에게 사회적 지위나 특별함을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되며,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더 많은 지출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고급 브랜드나 고가의 제품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시장 가격 형성: Veblen Effect는 시장에서 가격 형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고가의 상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 이로 인해 가격이 더욱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높은 가격을 지불함으로써 자신의 고유성이나 사회적 지위를 표현하려는 경향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요인

심리적 요인은 소비 패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고가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그 자체로도 만족감을 줄 뿐 아니라, 다른 이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거나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는 방법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비싼 제품을 소유함으로써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려는 욕구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가격이 저렴한 제품은 소비자들에게는 부담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는 인식을 주기도 합니다. 이는 신뢰성이나 품질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기도 하며, 과시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제품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결론

배블런 효과는 단순히 경제적인 관점에서만 이해되어서는 안 되는 현상으로, 우리가 소비 문화와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 분석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MCA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1) 2024.03.28
본원통화  (0) 2024.03.28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  (0) 2024.03.28
머니 마켓 펀드(Money Market Fund)?  (0) 2024.03.28
단리와 복리  (0) 202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