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단리와 복리

by 느리게 걷는 즐거움 2024. 3. 28.
반응형

단리와 복리

금융 용어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단리와 복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단리와 복리의 개념을 쉽고 이해하기 쉬운 예시를 통해 설명하겠습니다.

단리복리는 금융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간단한 예시를 통해 비교해보겠습니다.

 

단리 (Simple Interest)

단리는 원금에 대해 일정한 이율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이율은 원금에만 적용되며, 이자는 매년 동일한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1년 동안 1,000만원을 5%의 단리로 예금했다고 가정합시다. 이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따라서 1년 후에 예금액은 1,000만원 + 50만원 = 1,050 만원 가 됩니다.

 

복리 (Compound Interest):

복리는 이자가 매년 원금에 추가되어 계산되는 방식입니다. 이자는 이전 연도의 원금과 이자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1년 동안 1,000 만원 를 5%의 복리로 예금했다고 가정합시다.

첫 해의 이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그러나 두 번째 해부터는 이자가 원금에 추가되어 계산됩니다. 두 번째 해의 예금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이런 식으로 연도마다 이자가 누적되어 예금액이 증가합니다.

결론적으로, 복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금에 누적된 이자를 고려하여 계산되므로,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단리는 간단하게 원금에 일정한 이율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런 식으로 복리는 시간이 흐를수록 투자 원금이 계속해서 증가하므로, 단리에 비해 더 많은 이자가 발생하게 됩니다.

단리와 복리 비교


년도 단리  (원금 + 이자) 복리 (원금 + 이자) 차이
1 1,050 1,050 0
2 1,100 1,102.50 2.50
3 1,150 1,157.63 7.63
4 1,200 1,215.51 15.51
5 1,250 1,276.29 26.29

이처럼 단리와 복리의 성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로 얻은 수익을 재투자하여 복리 효과를 누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단리와 복리는 투자나 저축 등 금융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단순한 예시를 사용하여 각각의 작동 방식을 이해했을 것입니다. 단리와 복리를 이해하는 것은 개인의 금융 계획을 세우고 효율적인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  (0) 2024.03.28
머니 마켓 펀드(Money Market Fund)?  (0) 2024.03.28
양도성 예금증서(CD)  (0) 2024.03.28
Cofix 금리는 무엇인가요?  (0) 2024.03.28
2024 3월 27일 - ETF 수익률 순위  (0)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