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더리움 스테이킹 - 채굴이랑 다른건가요?

by 느리게 걷는 즐거움 2024. 3. 8.
반응형

이더리움이 뭔가요?

이더리움은 가장 인기 있는 암호화폐 중 하나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및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합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기존의 채굴 방식과 스테이킹 방식을 통해 보안 및 네트워크 운영을 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최근 뉴스를 보면 최근 이더리움은 신고점을 향해 가격이 크게 오르는 상황입니다. 1이더리움이 540만원 정도 하고 있네요.

급격한 가격 상승에는 이더리움 ETF가 만들어 질 것이라는 호재에 대한 기대 때문일 것 같습니다. 

기존 GPU 채굴 방식

이더리움의 초기 버전은 작업 증명(Proof of Work, PoW) 방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거래를 처리했습니다. GPU(그래픽 처리 장치)는 이더리움 채굴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하드웨어였습니다. 채굴자는 수많은 수학적 계산을 수행하여 네트워크의 보안을 유지하고 새로운 블록을 추가했습니다. 그러나 GPU 채굴은 많은 전력 소모와 네트워크의 분산성 문제로 인해 환경적으로 친화적이지 않았습니다.

https://kbench.com/?q=node/224359

위와 같이 GPU를 이용해서 이더리움을 채굴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엔비디아 GPU의 가격이 로켓처럼 상승하던 이유중의 하나가 채굴때문이었죠. 그럼? 지금은 아닌가요? 네, 지금은 이더리움은 staking이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방법과 기존의 GPU 채굴 방식과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이더리움 2.0의 PoS (Proof of Stake)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은 기존의 PoW 방식에서 작업 증명을 거부하고, 대신에 작업 증명을 기반으로 한 스테이킹(Proof of Stake, PoS)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PoS는 네트워크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채굴 대신 일정량의 자산을 미리 예치하고 보증금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는 보다 환경적으로 친화적이고 빠른 거래 처리 속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스테이킹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1. 이더 보증금 예치: 스테이커는 일정량의 이더를 스마트 계약에 예치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보안을 담당하고 거래를 처리하는 데 참여할 자격을 얻게 됩니다.
  2. 블록 생성 및 보상: 스테이커들은 자신의 이더를 예치하고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보상으로 수수료 및 추가 이더를 받습니다.
  3. 슬래싱: 스테이커가 부적절한 행동(예: 더블 스팬)을 하는 경우 일부 자산을 벌금으로 지불하게 됩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응? 그런데 이걸 왜 알아야 하죠?

이더리움에 투자하는 경우 암호화폐의 목적과 거래인증 방식에 대해서 이해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거래인증 방식에 문제가 생기면 암호화폐는 그냥 화면상의 숫자가 되버리기 때문이죠. 

그럼 이더리움의 목적은 뭔가요?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 및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주요목적으로 합니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계약을 이더리움을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더리움 2.0은 GPU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체 및 거래속도를 향상 시키고 스마트 계약 및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지원하고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성장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출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더리움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즉 이더리움의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다른 암화화폐의 등장 그리고 이더리움 개발 중 문제로 발생하는 리스트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 2.0과 staking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이해했다면 이제 이더리움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이해하고 투자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