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예수금과 투자자 예탁금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는 많은 투자자들이 처음 접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주식 예수금"입니다. 주식 예수금은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할 때 필요한 자금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주식 거래에 필요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계좌의 잔액을 말합니다.
투자자예탁금이란 투자자가 주식을 매매하기 위해 계좌에 넣어둔 돈, 즉 예수금입니다. 주식시장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주식시장 전체의 증권사에 예치해둔 돈을 통계로 관리합니다.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예수금
주식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해당 주식의 매수 주문을 할 때 일정한 금액을 계좌에 예치해야 합니다. 이렇게 거래를 위해 예치된 자금을 주식 예수금이라고 합니다. 주식 예수금은 주식 거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자금의 한도를 나타내며, 주식 거래가 발생하면 해당 금액이 자동으로 차감됩니다.
주식을 매도 했는데 돈이 없어요!
국내 주식은 매도했을 때 한국예탁결제원을 거쳐 환급이 진행됩니다. 이 기간이 3일이기 때문에 증권사의 예수금에는 D+1, D+2 같이 예수금을 인출할 수 있는 기간을 분류하여 표시합니다.
따라서 D-DAY 예수금은 오늘 인출이 가능하며 D+1, D+2는 각각 1일, 2일 후 인출이 가능합니다. D+1, D+2 예수금의 경우 인출은 불가능하지만 이 예수금으로 다른 주식을 매수(구매)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투자자예탁금
주식시장에서 투자자예탁금이 늘어난다면 투자자들이 주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주가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대의 경우는 투자에 관심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표를 통해서 투자예탁금이 2023년 3월까지 줄어드는 추세였다가 점점늘어나는 추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2021년부터 최근 2024년 사이의 투자자예탁금과 코스피 주가 그래프입니다. 유사한 상관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
주식 예수금은 주식 거래를 위해 필요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계좌의 잔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식 거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자금의 한도를 나타내며, 거래할 때마다 해당 금액이 차감됩니다.
또한 투자자예탁금의 추세를 통해서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지표는 참고를 위한 지표이니 항상 투자대상에 대한 공부를 진행한 후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소비트렌드 (0) | 2024.03.27 |
---|---|
전세가율이란 무엇인가요? (0) | 2024.03.27 |
주식장용어 시가, 종가, 호가 (0) | 2024.03.26 |
미국 배당주의 Payout Ratio(배당지급률) (1) | 2024.03.26 |
미국 배당주의 "Pay Date(지급일)" (0)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