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전환사채(CB)의 의미와 주가에 미치는 영향

by 느리게 걷는 즐거움 2024. 3. 26.
반응형

전환사채(CB)란 무엇인가요? 

경제 용어 중 하나인 '전환사채(CB)'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처음 듣는 용어일 수도 있지만, 자신이 투자한 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내용이니 알아두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투자자 입장에서는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니 꼭 알아둡니다.

전환사채(CB)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서, 전환사채는 회사가 발행하는 채무증권 중 하나로, 이 채권을 보유한 사람은 언제든지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특별한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식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이 전환사채의 특징 중 하나인데요, 이는 전환사채를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 수단으로 만들어 줍니다.

그럼 전환사채가 좋은건가요? 

 

전환사채를 보유한 투자자는 어떤 이점을 가지고 있을까요? 전환사채를 보유한 투자자는 언제든지 이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회사의 주가가 상승한다면,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여 주식 시장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주가가 하락한다면 일반 채권보다는 손실이 적을 수 있지만, 주식으로의 전환을 원하는 경우에만 해당되는 거예요.

장점은 수익성 향상 가능성입니다. 전환사채는 만기 전에 투자자가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주식 가격이 상승할 경우,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하여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또한 전환사채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이자를 지급합니다. 이는 투자자에게 고정 수입을 제공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단점도 있습니다. 이자율이 낮을 수 있음: 일반적으로 전환사채의 이자율은 일반 회사채에 비해 낮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주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주식으로의 전환이 유리하지 않거나, 주식 가격이 하락할 경우 투자자는 원금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환사채는 발행회사의 신용력에 종속되므로, 회사의 재정 상태가 악화할 경우 투자자에게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주의해할 점

 

전환사채가 주식으로 변경될 때는 기본적으로 회사의 주식 발행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일부 희석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주요 영향이 있습니다.

주식 수 증가, 전환사채가 주식으로 전환되면 회사의 주식 수가 증가합니다. 이는 주식 시장에서 회사의 유통 주식 수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각 주식의 상대적인 보유 지분을 희석시킬 수 있습니다.

주식 가격 변동,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는 것은 일종의 주식 발행이므로 시장에서는 주식 공급이 증가함에 따라 주식 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 간의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뉴스]와 같이 대주주가 미리 정해진 가격에 CB 등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을 행사해 CB를 저렴하게 취득한 후 주가가 오르면 이를 주식으로 바꿔 지분을 편법으로 취득해 지분률을 늘리는 불공정거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