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의 특성을 결합한 선거제도입니다. 이 방식은 지역 대표성을 보장하면서도 비례대표 제도의 장점을 유지합니다. 유권자들은 두 개의 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선택합니다
연동형비례대표제는 뭔가요?
국민의 대표를 뽑는 국회의원 총선거는 지역구 선거와 비례대표 선거로 나뉜다. 한국은 지난 총선 기준 전체 300석 중 지역구 253석, 비례대표 47석으로 두 제도를 혼합해 적용하고 있습니다.
투표할 때도 2개의 투표용지를 받아 후보 이름이 나열된 지역구 투표와 지지 정당을 뽑는 비례대표 정당명부 투표를 따로 진행하게 됩니다.
연동형은 지역구에서 정당 득표율만큼의 의석을 채우지 못했다면 비례대표에서 그만큼의 의석을 채워주는 제도니다.
예로 알아볼까요?
A단체는 8%득표비율을 얻었습니다. 이 경우 전체 300석중 8%인 24석을 배정 받습니다.
A단체는 당선자가 18명이기 때문에 할당받은 24석 좌석 중 지역구 득표를 제외한 나머지 6석은는 비례대표의석으로 채웁니다. 여기서 6석이 연동형비례대표제의 의석입니다.
준연동형비례대표제?
준연동형비례대표제는 연동형비례대표제로 얻을 수 있는 비례대표의석의 절반만 채워주는 형식입니다. 이에 따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시행 이후 거대 양당이 총선 시기마다 비례 득표용 위성정당을 창당하는 흐름입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 (0) | 2024.04.01 |
---|---|
대한민국 국회의원 수 (0) | 2024.04.01 |
조세피난처 (0) | 2024.03.31 |
수직계열화 (0) | 2024.03.31 |
골디락스 (0) | 2024.03.31 |